기록하는 블로그

기록하는 블로그

  • 분류 전체보기 (53)
    • 하루 (0)
    • 취미 (0)
    • 먹은 것 (0)
    • 쓴 것 (0)
    • 그린 것 (0)
    • iOS (50)
      • 패턴 (2)
      • 출시 관련 (3)
      • 반응형 Rx | Combine (2)
      • WWDC 파보기 (3)
      • Swift 문법 (6)
      • 네트워크 (6)
      • 이슈 (19)
      • 협업 (4)
      • 레이아웃 (2)
    • 알고리즘 (2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기록하는 블로그

컨텐츠 검색

태그

스타트위드유데미 apple design challenge 인프콘 #커피챗 #FLO #드림어스컴퍼니 WWDC 19 Swift SPM LowData RxSwift ios Asset nestedcontainer AVFoundation HIG 유데미코리아 WWDC existential type scrollview Video 유데미 스터디윗미

최근글

댓글

공지사항

아카이브

generic(1)

  • Using Existential and Generic feat.Dispatch

    Tuist를 통한 모듈화를 하면서 build 최적화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. 그 중에 하나가 static dispatch와 dynamic dispatch이다.단순하게는 class 선언 시 final을 붙이거나, property에서 private을 붙여 최적화하는 정도만 알았다.다음의 짧은 아티클을 보면서 Protocol을 통한 type 선언 시, dynamic dispatch가 되는 상황을 알아보자!ProtocolSwift는 protocol을 통해 기능과 특징을 정의할 수 있다. 아래는 polinator 역할을 protocol로 정의하고, Insect와 Bee가 이 역할을 수행하는 예시이다.protocol Pollinator { func pollinate(_ plant: String)}struct ..

    2024.09.17
이전
1
다음
티스토리
© 2018 TISTORY. All rights reserved.

티스토리툴바